본인이 어떤 회사에 취직을 하고 싶을때, 그곳에 기본적으로 '이력서'를 제출해야 됩니다. 이때 이런 이력서를 작성할땐 여러가지 사항들을 고려해야 되는데요. 그 중에서도 자기소개서 부분을 가장 중점적으로 봐야 됩니다. 아무래도 인적사항이나, 경력사항을 적는 것과는 다르게 일정 글을 써야 되기 때문에, 맞춤법도 신경써야 되고 띄어쓰기도 고려를 해야 되는데요. 이것과 함께 '글자수' 역시 생각을 해야 됩니다. 아무래도 이런 자소서는 한없이 길어지면 안되기 때문에 일정 글자수를 제한해야 놓고 있는데요. 그것 관련해서 전체 글을 '글자수'를 확인해보고 싶은 분들이 있어요. 오늘은 이런 분들을 위해 글자수세기를 할 수 있는 잡코리아, 사람인 전용 페이지를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잡코리아 글자수세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는 잡코리아 홈페이지(바로가기)에서 이용할 수 있어요. 이곳으로 들어오게 되면 초반엔 인턴, 신입, 경력 사원 모집 등에 대한 내용들이 보이는데요. 여기서 다른 것 말고 위쪽에 있는 메뉴 중에 '뉴스 자료' 부분에 마우스를 움직이면, 아래쪽에 세부 메뉴가 있습니다. 이 중에서 '취업 성공 툴' 부분에 있는 '글자수세기'를 클릭해보세요.
넘어가면 이렇게 한 가운데에 자기소개서 및 일반 글 등을 적을 수 있는 공간이 있습니다. 이곳에 본인이 적고 싶은 내용을 직접 적어가면서 글자수를 확인하거나, 혹은 이미 다른 곳에서 작성한 글을 복사 / 붙여넣기 해서 옮겨와도 상관은 없어요. 저도 이를 바탕으로 글 하나를 가져와봤습니다.
바로 애국가인데요. 1절부터 4절까지를 쭉 한번 써봤습니다. 보면 한 가운데에 이렇게 2가지로 구분되어 있는 글자수가 나오는데요. 이때 이 글자수는 공백(스페이스바, 엔터)을 포함한 글자수와 제외한 것으로 구분이 되어 있습니다. 이 둘의 글자수가 다르기 때문에 관련 내용을 구분 해서 보는 것이 좋겠죠?
또한 여기에는 글자수 말고도 '바이트'라고 하는 개념 역시 있는데요. 경우에 따라 바이트로 글자수를 체크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그것에 대한 사항도 알아두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여기까지가 잡코리아 글자수세기 이용 방법에 대한 내용이였어요.
다음으로 사람인 글자수세기 이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께요. 이 역시 사람인 홈페이지(바로가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곳을 들어온 다음에 초기 화면에 보면 아까와 비슷하게 취업과 관련된 전반적인 정보들을 우선적으로 볼 수 있는데요. 여기서 다른 것 말고 맨 오른쪽에 보면, '글자수세기'라고 하는 글자가 보일꺼에요. 이를 클릭해보세요.
그럼 스크롤이 맨 아래쪽으로 내려가면서, '취업 성공 도우미'라고 하는 전용 메뉴가 나오게 됩니다. 이를 통해 취직 할때 할 수 있는 사진 크기 조정, 글자수세기나 취직을 하고 난 다음 회사에서 이용할 수 있는 연봉 계산기 / 퇴직금 계산기 / 연차 계산기 등에 대한 내용이 보이는데요. 여기서 저희는 맨 왼쪽에 있는 '글자수세기' 아이콘을 클릭하면 됩니다.
넘어가면 다음 페이지에서 글자수세기 + 맞춤법 검사를 바로 할 수 있는 페이지가 나오게 되요. 여기서 왼쪽에 있는 빈칸에 본인이 내용을 직접 적거나, 글을 복사 / 붙여넣기 해서 새롭게 불러와보시길 바랍니다.
여기에 아까 적었던 애국가 1-4절을 다시 써봤어요. 보면 이렇게 내용이 나오고 아래쪽에 공백 포함, 제외한 글자수가 나옵니다. 이런 식으로 내용을 확인하고, 바로 옆에 있는 '검사 시작' 버튼을 누르면 맞춤법 역시 같이 볼 수 있는 것 같네요.
그럼 지금부터 잡코리아, 사람인 글자수세기 사이트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사람인 글자수세기
https://www.saramin.co.kr/zf_user/tools/character-counter
글자수 세기/맞춤법 검사기 | 사람인
글자수 세기/맞춤법 검사기 | 이력서와 자기소개서의 글자수, 맟춤법을 확인 할 수 있는 검사기 - 사람인
www.saramin.co.kr
* 잡코리아 글자수세기
https://www.jobkorea.co.kr/service/user/tool/textcount
글자수 세기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의 글자수 세기는 잡코리아 취업툴을 사용해보세요.
www.jobkorea.co.kr
댓글 영역